"부모에 대해 말해주면 당신이 누구인지 알려주겠다"
이 책엔 숫자가 많이 나온다. 20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평균 소득, 한국 상위 10개 대학 졸업자와 지방대 졸업자의 평균 소득, 이들 부모의 평균 소득. 부모의 학력에 따른 자녀의 평균 소득. 해석을 읽으며 따라가다 보니 자연스레 주변인들의 얼굴을 떠올리며 대입해보게 된다. 화이트칼라 부모를 가진 K, 학창시절 공부 대신 알바를 했던 J, 교육에 큰 관심 없는 부모를 둔 L. 책에 나온 상관관계가 마치 알고리즘처럼 맞아떨어진다. 낯선 사람도 그 부모의 소득과 직업, 학력만 알면 대략적인 졸업 대학과 연봉 수준은 쉽게 짐작 가능할 것이다.
60년대생은 한국에서 대학, 화이트칼라 직업 같은 자본을 가지고 자기만의 성을 만든 최초의 세대다. 자식 세대인 90년대생은 성의 안에서 이미 안온한 채로 태어나거나 성의 밖에서 영영 안락함을 꿈꿀 수 없는 상태로 세상에 나왔다. 성의 안과 밖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없다. 경제자본, 인적자본, 사회자본의 교차적 불평등이 성의 수문장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60년대생에 의한 90년대생의 다중격차를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이 책에 나오는 많은 숫자들은 아프다.
- 사회과학 MD 김경영 (202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