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문학일반

이름:배선애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69년, 경남 함안

최근작
2015년 8월 <전쟁과 극장>

저자의추천 작가 행사, 책 머리말, 보도자료 등에서 저자가 직접 엄선하여 추천한 도서입니다.
이 분야에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옵션 설정
25개
1.
  • 유통 중단 후 추가 제작중이며, 출간 이후 주문이 가능합니다.
리뷰 죽었는데 죽은 게 아닌, 살았는데 산 게 아닌_연극 <죽음의 집> 코로나19와 함께 생활한지 1년이 지났다. 일상을 전복시킨 바이러스에 적응하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린 요즈음, ‘코로나 블루’라는 우울감과 무기력을 기본 감정으로 장착하고 살아가다 보니 삶과 죽음이 새삼 색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죽는 건 무엇이고 사는 건 무엇일까? 어떤 것이 살아있는 것이고 어떤 것이 죽은 것일까? 바이러스 덕분에(?) 한층 깊어진 삶과 죽음에 대한 고민을 연극적으로 풀어놓은 작품이 <죽음의 집>이다. 아들이 풀어낸 아버지의 숙제 <죽음의 집>은 매우 흥미로운 이력을 갖고 있다. 실제로 <죽음의 집>은 故 윤영선 작가의 미완성 희곡이다. <여행>, <키스>, <사팔뜨기 선문답> 등으로 유명한 윤영선 작가가 마무리를 하지 못한 채 남겨둔 희곡이었다. 미완성이기 때문에 윤영선 작가 추모 공연 등에 함께 할 수 없었는데, 그 미완의 영역을 윤영선 작가의 아들인 윤성호 작가가 마무리를 했다. 대를 이어 희곡작가가 되는 것도 드문 일이지만 거기에 아버지가 남겨 놓은 숙제를 아들이 풀어낸 것은 우리나라 연극사에 처음 있는 일이다. <죽음의 집>은 이렇게 세대를 이어가며 완성된 희곡이라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거기에, 윤성호 작가는 단순히 마무리를 한 것이 아니라 마치 한 명의 작가가 쓴 듯이 매끄럽게 끝을 맺었다. 이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데, 첫째는 원작자인 윤영선 작가의 문제의식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둘째는 윤성호 작가가 그 현재성을 적극적으로 발견해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워낙에 윤영선 작가가 현대적인 작가이긴 하지만 그 특징을 그대로 유지하고 발전시킨다는 것은 웬만해서는 불가능한 일인데 윤성호 작가의 노력으로 그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어냈다. 삶의 영역인지, 죽음의 영역인지 스스로 완성을 했기 때문에 그 의미를 충실히 살려내기 위해 윤성호 작가는 연출까지 겸했다. 2020년 제41회 서울연극제에서 희곡상과 연출상을 수상한 것은 윤성호 작가 겸 연출가의 노력이 그대로 인정받은 결과였다. 아버지와 함께 완성한 희곡으로 희곡상을, 그 희곡의 색채를 분명히 하기 위해 연출적으로 공들인 것을 인정받아 연출상을 수상한 것이다. (……) 죽음을 이야기함으로써 삶을 향하는 <죽음의 집>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지워내면서 살아 있으되 죽은 것, 죽었으나 살아있는 것에 대한 깊은 성찰을 이끌어내는 작품이다. “내일이 나아질 게 전혀 없다는 걸 알면서 아침에 눈을 뜰 때” 죽음과 별반 다를 것 없는 삶의 허무를 각성시키면서 동시에 “난 아무 데도 없다고 생각하는 난 뭐지라고 생각하는 나는, 여기 있어. 없는데, 있어.”라며 인간 실존의 문제로까지 확장한다. 매일매일 살아있다고 생각하는 우리들은 정말 살아있는 것인지, 어떤 의미에서 살아있는 것인지, 어떻게 살아있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지 등등 끝도 없지만 그만큼 중요한 질문을 던지는 연극을 보면서 관객들도 생존에 대해, 삶과 죽음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면 어떨까? 그 고민의 힘으로 죽음이 넘실대는 세상을 버텨내고 견뎌내는 힘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연극 <죽음의 집>은 죽음을 얘기하고 있지만 결국은 삶을 향하고 있기에 이런 기대와 바람을 가져본다. _연극평론가 배선애<웹진 누리>(2021.3.24.)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