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소설

이름:김성중

성별:여성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75년, 대한민국 서울

직업:소설가

기타: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졸업

최근작
2024년 12월 <[세트] 당신을 기대하는 방 + 쓰지 않은 결말 - 전2권>

이 저자의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syo
1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자목련
2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chik...
3번째
마니아

김성중

2008년 〈중앙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개그맨』, 『국경시장』, 『에디 혹은 애슐리』, 중편소설 『이슬라』, 『두더지 인간』, 장편소설 『화성의 아이』가 있다. 〈젊은작가상〉, 〈현대문학상〉, 〈김용익소설문학상〉을 수상했다.  

대표작
모두보기
수상내역

저자의 말

<개그맨> - 2011년 9월  더보기

수요일 오후, 텅 빈 카페에 앉아 전에 써놓은 을 다 지웠다. 누군가에게 보여줄 수 없을 만큼 비장한 글이었기 때문이다. 새 노트를 펼치고 있으려니 문득 기이하고 아득하다. 그리고 비현실적이다. 세상에, 내가 첫 소설집에 들어갈 을 쓰고 있다니! 내 인생에서 가장 신기한 일은 내가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대학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했지만 한 번도 글재주로 주목받아본 적이 없는 나였다. 항상 오만한 독자였지만, 작가는 특수한 다른 종족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다 서른두 살부터 다시 소설을 썼다. 구립도서관까지 자전거를 타고 가서, 좋아하는 자리에 앉아 공상에 잠기는 행복한 시간이었다. 습작은 별로 진전이 없었고 노트북을 켜놓은 채 남의 글만 잔뜩 읽다 돌아오곤 했다. 어쩌다 쓴 글 중에는 책 뒤에 들어갈 즉, 지금 이 글을 당겨 쓴 것도 있는데 한밤중에 벌떡 일어나 소리를 지르고 싶을 만큼 낯부끄러운 글이다. 비슷한 것으로 편지들이 있다. 몇 개의 습작을 부러뜨리고 나서 실의에 빠진 채, 내 첫 소설에게 보내는 편지였다. ‘언젠가 올 너를 기다리고 있어……’ 연서에나 들어갈 문구로 빼곡한 글이었다. 소설을 써야 할 시간에 소설에게 편지나 쓰고 있으니, 도무지 진도가 나갈 리 없었다. 그때는 전혀 글을 쓸 줄 몰랐고, 이야기를 만들어낼 줄은 더더구나 몰랐기 때문에 낙서밖에 할 수 없었다. 격한 감정이 밀려올 때, 어떤 ‘원석’을 발견할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에 충전되어 있을 때, 그 감정의 정체를 몰라 ‘뮤즈’ 운운할 때, 나는 늘 근사한 첫 문장을 고대했다. 뭔가로 가득 차 있지만 어떻게 터뜨려야 할지 몰라 내버려두는 고름처럼, 그렇게 끙끙거리며 날마다 문장 타령만 했다. 2년 후에야 겨우 마침표를 찍은 첫 소설(도서관 생활을 수기처럼 옮긴 터라 부끄러움이 컸다)로 등단을 했다. 힘겹게 첫 소설을 끝냈더니 그다음부터 신기한 일이 벌어졌다. 놀랍게도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신호등 앞에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이야기의 입자가 저절로 달라붙었다. 느닷없이 소설과 나 사이에 회로가 생겨 전류가 흐르는 느낌이었다. 첫번째 소설이 내게 행한 마법이었다. 그다음부터 진정한 문제가 발생했다. 근사한 얘기들이 밀려들었는데, 그걸 제대로 받아 적을 필력이 한참이나 모자랐다. 등단할 때 당선 소감에 ‘물러설 수 없는 사각의 링’ 운운했는데, 막상 링에 올라와보니 정신없이 쏟아지는 펀치는 다름 아닌 나 자신의 부족함이었다. 두번째, 세번째, 작품이 쌓일 때마다 곤죽이 되도록 나에게 얻어맞았다. 독자인 내가 작가인 내게 분통을 터뜨렸는데, 비난의 요체는 멋진 이야기를 왜 이렇게밖에 못 쓰느냐는 것이었다. 물론 내 원단이 순면이나 순모가 아닌 폴리에스테르나 아크릴 따위인 것은 익히 알고 있었다. 문재(文才)가 없으니 정전기라도 일으켜보겠다는 게 내 씩씩한 낙관의 근거였다. 그러나 이런 유의 괴로움―소재도 있고,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도 알고, 강렬한 문장이 어느 순간에 폭발해야 하는지도 훤히 꿰고 있는데 막상 써놓고 보면 머릿속의 소설과 멀어도 한참이나 먼―이 반복되자 다시금 소설에게 편지를 써대기 시작했다. 이 글의 몸통이 될 내용은 사실 내 소설들에게 보내는 미안함과 반성문이다. 현재까지 내가 처한 곤란은 이렇다. 흥미로운 이야기라면 열 개든 스무 개든 만들어내겠는데, 그걸 잘 살려내지 못하는 것이다. 거칠고 조악한 글에 이야기들이 얹혀 있는 모습은…… 무지막지한 벽돌로 성급하게 쌓아 이야기를 가둬놓은 것 같았다. 그렇다. 매일매일 벽돌을 구웠지만 예쁜 장밋빛 벽돌은 얻지 못했다. 모처럼 내게 온 이야기들, 세상 곳곳에 빛처럼 바람처럼 떠다니다 운 나쁘게 나에게 수신된 이야기들이 다른 곳으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허둥지둥 쌓은 아홉 개의 감옥, 그것이 내 첫번째 창작집이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이런 곤란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한두 해 죽자고 덤벼서 해결될 일도 아니었다. 머릿속의 소설이 종이 위의 소설보다 완벽한 것은 당연하다. 아직 언어의 터널을 통과하기 전이니까. 그러나 굴착기의 시간이 도래하면 사건은 점점 생기를 잃어가면서 딱 내 수준만큼의 모습만 드러냈다. 이제 나는 세상 어디에나 멋진 이야기들이 떠다닌다는 것을 알고 있고, 대단한 작가일수록 이야기를 가둔 벽돌의 색이 옅어진다는 것을, 옅어지다 못해 투명해지기도 한다는 것을, 그리하여 사막 한가운데 신기루처럼 홀연히 독자 앞에 이야기를 펼쳐 보인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 문학의 영웅들이 투명한 벽돌을 얻을 때까지 걸었을 여정을 생각하면 참으로 아득하다. (역시나 소설이 아닌 글을 쓰면 대책 없이 솔직해진다. 이 글도 앞선 글과 마찬가지로 파기해버리고 4줄짜리 작가의 말이나 짤막한 콩트를 쓸까 하다가 너무 태연한 척하는 것 같아 관뒀다. 더 부끄러워지기 전에 글을 정리해야겠다.) 엄마에게 드리는 감사 인사만은 생략할 수 없다. 어릴 때는 세상 엄마들이 다 우리 엄마 같은 줄 알았는데, 커서 보니 아니었다. 서른이 넘도록 자리 잡지 못한 딸에게 심지어 잔소리도 별로 안 한 우리 엄마. 변함없이 다정한 엄마의 지지가 없었다면 이렇듯 열렬히 절망하고, 또 씩씩할 수 없었을 것이다. 우리 엄마를 엄마로 만나서, 나는 겨우 작가가 됐다. 그리고 내 노트북에 등을 대준 무수한 탁자들 중에서도 특히 연희창작촌 203호 책상에게 고맙다. 그곳에서 세 편이나 만지작거렸으니 이 책의 3분의 1은 녀석에게 빚진 셈이다. 문학과지성사 편집부 식구들, 해설을 써주신 우찬제 선생님과 유약한 작가를 잘 끌어준 편집자 필균, 근사한 표지를 만들어주신 김현우 씨에게도 감사드린다. 인생의 첫번째 책에 연루된 사람들이니 평생 동안(무섭죠?) 잊지 않을 테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어준 독자들에게 감사하고 싶다. 내 글에 나 외에 다른 독자가 생기는 건 여전히 어색하지만, 여기까지 읽어준 당신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꼭 전하고 싶다. 솔직히 ‘독자’라는 존재는 좀 두렵지만…… 이제 막 내 언어로 된 세계의 지도를 그려나가기 시작한 풋내기 작가니까, 다음 소설에서 신대륙을 발견할지 누가 아는가? 그러니까 첫 책의 독자가 되어준 분들은 계속 내 글을 읽어주셨으면 좋겠다. 하하. 여기까지다. 수수하고 솔직한 글을 쓰려던 것이, 수다하고 장황한 글이 되고 말았다. 온도가 뜨거운 소설을 쓰겠다는 결심을 내려놓고 이 글을 마친다. 2011년 가을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