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 초콜릿》, 《초콜릿 학교》, 《초콜릿 수첩》 세 권의 초콜릿 관련 책을 썼다. 네 번째 책은 건조하고 두툼한 초콜릿 이론서 하나 쓰지 않을까 막연히 생각했다. 흰머리가 성성해지고 만사가 귀찮고 재미없을 무렵 오른손이 고장 나는 바람에 왼손 일기를 쓰다 보니 네 번째 책이 되었다. 서툰 일기가 책이 되니 뭔가 부끄럽지만 앞의 세 권 쓸 때보다 분명 재미있었다. 재미없는 이론서는 다음 생에 양보하고 남은 생은 좀 더 재미를 봐야겠다.
프롤로그
결국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안쪽으로 살짝 굽은 채 굳어 버렸다.
부기나 통증은 거의 사라졌고 기능도 대부분 돌아왔지만 활처럼 휘던 유연한 엄지손가락은 이제 없다. 그 손가락이 담당했던 야무진 힘과 섬세함은 아직 다 돌아오지 않았다. 손님 앞에서 초콜릿 박스에 리본을 묶다가 움찔하기도 하고, 힘을 쓰다가 멈칫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괜찮다. 마음이 괜찮아졌으니까.
왼손에 펜을 들고 일기를 쓰고 그림을 그렸던 그 시간 동안 나는 단순한 몰입의 즐거움에 빠져 있었다. 한쪽에만 너무 많은 힘을 받아 무너진 몸을 보살피며 내 20년 기술에 대해서도 돌아보았고 앞으로 어떤 기술자로 살고 싶은지 방향을 점검하는 시간도 가졌다. 일만 생각하며 사느라 균형이 깨진 마음과도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었다.
왼손으로 글을 쓰고 그림을 그렸던 지난 일 년은 추상적이고 불필요한 걱정으로 고민하는 대신 손끝에서 시작된 선이 나아가는 방향에만 집중했던 시간이었다. 그 선들이 엮고 만들어 내는 단어와 그림들을 보며 나는 내 마음과 생각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감촉할 수 있었다. 한층 더 본능적이면서 근원적인 만족감을 얻을 수 있었다.
왼손으로 쓰고, 왼손으로 일하고, 왼손으로 생각한다는 것. 그것은 기술자로 더 살아가기 위한 순응이었고, 한편으로는 불안한 마음과 불편한 육체에게 점령당하고 싶지 않다는 저항이기도 했다.
여기에 실린 글과 그림들은 그 순응과 저항을 겪은 내 마음과 몸이 지나온 기록들인데, 때로는 아프고, 때로는 슬프고, 때로는 절망스럽지만, 끝내는 유쾌해서 마음이 놓인다.
책으로 나온다니 또 쓸데없는 걱정을 하고 있다.
독자에게도 의미 있는 책일까?
의미를 만드는 건 읽는 이의 몫인데 내가 알게 뭐람!
그래도 책은 많이 팔렸으면 좋겠다.
진심을 다해 책을 엮어 주신 보다북스가 흥하면 좋겠다.
사회학자 정은정 작가의 《밥은 먹고 다니냐는 말》 대신 만나는 사람마다 “초콜릿은 먹고 다니냐”라는 인사를 건네는 세상, 따뜻한 밥은 누구나 당연히 먹는 세상이 될 때까지 나는 초콜릿 기술자의 길을 뚜벅뚜벅 걸을 것이다.
기술자의 아픈 어깨와 손을 책으로 주물러 드리는 상상을 하며,
카카오봄 작업실에서 고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