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접근은 프로이트 이론의 인식론적 가정과는 반대 방향에 있다. 도발적인 반명제로 수렴해 보면, 우리의 테제는 이렇게 진술될 수 있다: 콤플렉스를 설명하는 게 바로 오이디푸스 신화다. 더 나아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같은 어떤 것이 끈질기게 지속되고 기술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주체성의 어떤 역사적 제도의 내부, 어떤 독특한 상징적 장치의 틀 내부에서다(오이디푸스 신화는 이러한 상징적 장치의 가장 강력한 드러내기다). 프로이트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발견했던 것은 서양이 오이디푸스적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신화로서의 오이디푸스 신화의 논리는 프로이트가 “콤플렉스”를 가지고 할 수 있다고 믿었던 기술(記述)을 해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복시킬 수도 있다. 프로이트의 발견의 역사적 마모가 그 발견을 떠받치는 개념들을 작동하지 않게 만들 위험이 있을 때, 어쩌면 바로 그러한 재해석(r?version) 작용에 의해 그의 발견은 아직도―비록 다른 식일지라도―우리에게 말할 수 있는 어떤 기회를 간직하는 것일 수도 있다. -(지은이 서론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