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닮은, 그러나 인간이 아닌 존재가 인간다움을 탐구하는 구실이 되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많다. 비인간 스스로 인간성을 얻게 되는 이야기도 있거니와, ‘인간과 닮은 것’을 만들려는 신에 도전하는 인간의 욕망을 비추는 데 집중하는 이야기도 있다. 『기계 장치의 사랑』과 『신 이야기』가 주목한 인간다움과 그걸 보여 주는 방식은 무엇일까. 전자는 육아, 간호, 감시부터 심지어는 고문과 살상, 목회까지 각종 (감정이 개입되는) 노동에 종사하는 로봇이 주인공인 옴니버스, 후자는 현대 일본에서 노숙자처럼 지내는 우스꽝스러운 용모의 조물주를 다룬 이야기다.
둘은 매우 다른 작품이지만, 『기계 장치의 사랑』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로봇을, 『신 이야기』가 그 인간을 만든 신을 다룬다는 데서 한 가지 테마의 다른 판본으로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테마는 ‘쓰임’이다. 『기계 장치의 사랑』에서 로봇의 행동과 감정을 추동하는 힘은 그들에게 프로그래밍된 임무, 바로 일이다. 자유의 몸이 된 간병 로봇은 오히려 혼란을 느끼고, 애초에 따르도록 입력된 왕족을 자기 손으로 죽이게 된 살상 로봇은 자폭을 선택한다. 이는 수많은 사람들이 제 쓰임을 잃어버렸거나 좀처럼 찾지 못하는, ‘소명’이 과거의 유물이 되어버린 현대 사회를 위한 우화가 아닐까. 『신 이야기』의 신은 인간들에게 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없으며 모두가 다 저마다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결국 두 작품은 조물(造物)이라는 종교적 아이디어 속에서 세속적 삶의 치명적 질문, ‘왜 살아야 하는가.’를 물으면서 그 답을 ‘쓰임’에서 찾고 있는 셈이다.
이번에 소개되는 고다의 신작들은, 곱씹을수록 심오한 주제를 누구나 쉽게 따라갈 수 있는 기승전결 속에 녹여 내고, 밝고 착한 분위기를 놓지 않으면서도 허튼 낙관으로 빠지지 않는 수작들이다. 무엇보다 결국엔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잘 조율된 감정선은 『자학의 시』에서 입증된 그대로다. 고다가 그리는 인간관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독자 각자의 몫이겠지만, 모두에게 ‘고다 월드’에 한 발짝 다가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인간과 닮은, 그러나 인간이 아닌 존재가 인간다움을 탐구하는 구실이 되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많다. 비인간 스스로 인간성을 얻게 되는 이야기도 있거니와, ‘인간과 닮은 것’을 만들려는 신에 도전하는 인간의 욕망을 비추는 데 집중하는 이야기도 있다. 『기계 장치의 사랑』과 『신 이야기』가 주목한 인간다움과 그걸 보여 주는 방식은 무엇일까. 전자는 육아, 간호, 감시부터 심지어는 고문과 살상, 목회까지 각종 (감정이 개입되는) 노동에 종사하는 로봇이 주인공인 옴니버스, 후자는 현대 일본에서 노숙자처럼 지내는 우스꽝스러운 용모의 조물주를 다룬 이야기다.
둘은 매우 다른 작품이지만, 『기계 장치의 사랑』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로봇을, 『신 이야기』가 그 인간을 만든 신을 다룬다는 데서 한 가지 테마의 다른 판본으로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테마는 ‘쓰임’이다. 『기계 장치의 사랑』에서 로봇의 행동과 감정을 추동하는 힘은 그들에게 프로그래밍된 임무, 바로 일이다. 자유의 몸이 된 간병 로봇은 오히려 혼란을 느끼고, 애초에 따르도록 입력된 왕족을 자기 손으로 죽이게 된 살상 로봇은 자폭을 선택한다. 이는 수많은 사람들이 제 쓰임을 잃어버렸거나 좀처럼 찾지 못하는, ‘소명’이 과거의 유물이 되어버린 현대 사회를 위한 우화가 아닐까. 『신 이야기』의 신은 인간들에게 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없으며 모두가 다 저마다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결국 두 작품은 조물(造物)이라는 종교적 아이디어 속에서 세속적 삶의 치명적 질문, ‘왜 살아야 하는가.’를 물으면서 그 답을 ‘쓰임’에서 찾고 있는 셈이다.
이번에 소개되는 고다의 신작들은, 곱씹을수록 심오한 주제를 누구나 쉽게 따라갈 수 있는 기승전결 속에 녹여 내고, 밝고 착한 분위기를 놓지 않으면서도 허튼 낙관으로 빠지지 않는 수작들이다. 무엇보다 결국엔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잘 조율된 감정선은 『자학의 시』에서 입증된 그대로다. 고다가 그리는 인간관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독자 각자의 몫이겠지만, 모두에게 ‘고다 월드’에 한 발짝 다가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인간과 닮은, 그러나 인간이 아닌 존재가 인간다움을 탐구하는 구실이 되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많다. 비인간 스스로 인간성을 얻게 되는 이야기도 있거니와, ‘인간과 닮은 것’을 만들려는 신에 도전하는 인간의 욕망을 비추는 데 집중하는 이야기도 있다. 『기계 장치의 사랑』과 『신 이야기』가 주목한 인간다움과 그걸 보여 주는 방식은 무엇일까. 전자는 육아, 간호, 감시부터 심지어는 고문과 살상, 목회까지 각종 (감정이 개입되는) 노동에 종사하는 로봇이 주인공인 옴니버스, 후자는 현대 일본에서 노숙자처럼 지내는 우스꽝스러운 용모의 조물주를 다룬 이야기다.
둘은 매우 다른 작품이지만, 『기계 장치의 사랑』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로봇을, 『신 이야기』가 그 인간을 만든 신을 다룬다는 데서 한 가지 테마의 다른 판본으로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테마는 ‘쓰임’이다. 『기계 장치의 사랑』에서 로봇의 행동과 감정을 추동하는 힘은 그들에게 프로그래밍된 임무, 바로 일이다. 자유의 몸이 된 간병 로봇은 오히려 혼란을 느끼고, 애초에 따르도록 입력된 왕족을 자기 손으로 죽이게 된 살상 로봇은 자폭을 선택한다. 이는 수많은 사람들이 제 쓰임을 잃어버렸거나 좀처럼 찾지 못하는, ‘소명’이 과거의 유물이 되어버린 현대 사회를 위한 우화가 아닐까. 『신 이야기』의 신은 인간들에게 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없으며 모두가 다 저마다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결국 두 작품은 조물(造物)이라는 종교적 아이디어 속에서 세속적 삶의 치명적 질문, ‘왜 살아야 하는가.’를 물으면서 그 답을 ‘쓰임’에서 찾고 있는 셈이다.
이번에 소개되는 고다의 신작들은, 곱씹을수록 심오한 주제를 누구나 쉽게 따라갈 수 있는 기승전결 속에 녹여 내고, 밝고 착한 분위기를 놓지 않으면서도 허튼 낙관으로 빠지지 않는 수작들이다. 무엇보다 결국엔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잘 조율된 감정선은 『자학의 시』에서 입증된 그대로다. 고다가 그리는 인간관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독자 각자의 몫이겠지만, 모두에게 ‘고다 월드’에 한 발짝 다가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인간과 닮은, 그러나 인간이 아닌 존재가 인간다움을 탐구하는 구실이 되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많다. 비인간 스스로 인간성을 얻게 되는 이야기도 있거니와, ‘인간과 닮은 것’을 만들려는 신에 도전하는 인간의 욕망을 비추는 데 집중하는 이야기도 있다. 『기계 장치의 사랑』과 『신 이야기』가 주목한 인간다움과 그걸 보여 주는 방식은 무엇일까. 전자는 육아, 간호, 감시부터 심지어는 고문과 살상, 목회까지 각종 (감정이 개입되는) 노동에 종사하는 로봇이 주인공인 옴니버스, 후자는 현대 일본에서 노숙자처럼 지내는 우스꽝스러운 용모의 조물주를 다룬 이야기다.
둘은 매우 다른 작품이지만, 『기계 장치의 사랑』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로봇을, 『신 이야기』가 그 인간을 만든 신을 다룬다는 데서 한 가지 테마의 다른 판본으로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테마는 ‘쓰임’이다. 『기계 장치의 사랑』에서 로봇의 행동과 감정을 추동하는 힘은 그들에게 프로그래밍된 임무, 바로 일이다. 자유의 몸이 된 간병 로봇은 오히려 혼란을 느끼고, 애초에 따르도록 입력된 왕족을 자기 손으로 죽이게 된 살상 로봇은 자폭을 선택한다. 이는 수많은 사람들이 제 쓰임을 잃어버렸거나 좀처럼 찾지 못하는, ‘소명’이 과거의 유물이 되어버린 현대 사회를 위한 우화가 아닐까. 『신 이야기』의 신은 인간들에게 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없으며 모두가 다 저마다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결국 두 작품은 조물(造物)이라는 종교적 아이디어 속에서 세속적 삶의 치명적 질문, ‘왜 살아야 하는가.’를 물으면서 그 답을 ‘쓰임’에서 찾고 있는 셈이다.
이번에 소개되는 고다의 신작들은, 곱씹을수록 심오한 주제를 누구나 쉽게 따라갈 수 있는 기승전결 속에 녹여 내고, 밝고 착한 분위기를 놓지 않으면서도 허튼 낙관으로 빠지지 않는 수작들이다. 무엇보다 결국엔 눈물을 흘리게 하는, 잘 조율된 감정선은 『자학의 시』에서 입증된 그대로다. 고다가 그리는 인간관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독자 각자의 몫이겠지만, 모두에게 ‘고다 월드’에 한 발짝 다가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